부산이 키운 지역 성장 주도기업 투자양해각서 체결

【부산 = 서울뉴스통신】 박영기 기자 =부산시는 15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강림인슈 및 케이시스와 '투자 1천22억 원, 신규 고용 380명' 규모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다고 밝혔다.

[강림인슈: 803억 원 투자, 350명 신규 고용] 창원에 본사를 두고 있으나, 주력 제품 생산 라인은 부산(기장군 장안읍, 사하구 신평동)에 거점을 두고 있는 선박의 극저온 단열재 제조기업이다. 최근 수주 증가와 새로운 한국형 극저온 단열재 상용화를 위해, 기장군 명례산단에 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춘 신규 공장을 11월 착공할 예정이다.

현재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의 70%를 한국이 생산하지만, 대부분의 액화천연가스(LNG) 화물창은 프랑스 GTT의 기술이 적용돼 매년 막대한 규모의 로열티가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

강림인슈㈜는 해외 기술 의존도를 줄이고 독자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04년부터 조선소와 함께 한국형 화물창 개발에 착수,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2017년부터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번 시와 투자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명례산단에 803억 원을 투자해 한국형 극저온 단열 판(인슐레이션 패널) 생산시설 공장을 신설하고, 지능형 기술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첨단 생산공정을 구축할 계획이다.

[케이시스 : 219억 원 투자, 30명 신규 고용] 부산에서 창업한 LED 전광판 전문 제조기업이다. LED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에 따라 제조 기반 인프라 확충과 분산된 사업장의 통합을 통한 물류 및 공급망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일원에 사업장을 확장 이전할 계획이다.

케이시스는 국내 최초로 조달청 우수 및 혁신 제품으로 지정됐으며,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계약·납품·구축 건수 1위를 기록하는 등 공공 및 민간 시장에서 모두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약 1천 평 규모의 스마트 자동화 공장을 구축해 연간 10만 개 이상의 국산 발광 다이오드 모듈 생산 능력을 확보해 ‘LED 전광판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확장 이전 투자를 통해 ▲직접 생산 시스템 구축 ▲핵심 연구 인력 확보 ▲최신 설비 투자를 통한 생산 효율성 극대화를 추진해 미국을 포함한 세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부산을 거점으로 ‘케이(K)-디스플레이산업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시장은 “시는 이번 투자를 발판으로 타지역 기업 유치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성장한 기업이 지역에서 충분한 성장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