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원전 사고 위기관리 매뉴얼 실증훈련 실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토대로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실시하는 특성화 훈련인 광역 단위 합동 방사선 탐지 훈련을 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토대로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실시하는 특성화 훈련인 광역 단위 합동 방사선 탐지 훈련을 한다.

【부산 = 서울뉴스통신】 박영기 기자 =부산시는 23일부터 10월 24일까지 이틀간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원전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시 전역에서 '위기관리 매뉴얼 실증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는 방사능재난 대비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자체 주관 합동훈련, 정부 주관 연합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토대로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실시하는 특성화 훈련인 광역 단위 합동 방사선 탐지 훈련을 한다.

이번 훈련은 실제 사고 상황을 가정하여 시·군·경·학계 연합으로 29개 기관 160여 명이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원자력안전과를 중심으로 ▲16개 구·군 ▲남해지방해양경찰청 ▲부산경찰청 ▲육해공군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29개 유관기관이 참여해 원전 사고에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1일 차] 23일 '사전교육'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지영용 박사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후쿠시마현의 환경방사선 탐지 및 현황, 국립창원대 김병직 교수가 환경방사선탐지 장비 특성 및 방사능재난 시 지자체의 역할 등 전문특강으로 현장 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2일 차] 24일 '행동화 훈련'에서는 방사선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시행된다. ▲함정 ▲헬기 ▲차량 등이 실제 기동하여 광범위한 지역의 방사선을 신속히 탐지할 수 있도록 기관별 임무와 역할을 확인·점검한다.

시가 훈련 상황을 총괄하여 진행되며, ▲‘육상탐지’는 시, 16개 구·군, 육해공군이 참여하고 ▲‘해상탐지’는 남해지방해양경찰청(부산·울산해경)이 ▲‘공중탐지’는 시와 부산경찰청, 부산대 원자력안전 및 방재연구소가 맡는다.

방사선비상계획 구역 내 10개 구·군은 행정복지센터에서 자체 운영 중인 다목적 이동식 거리 방송장비로 실시간 관제도 병행한다.

주요 내용은 ▲위기관리 매뉴얼 검증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효과적인 대응체계 마련 ▲방사선 비상단계에 따른 기관별 임무·역할 정립 ▲현장과의 실시간 통신체계 확립 및 실시간 관제 등이다.

김기환 시민안전실장은 “방사능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며, 관·군·경·연구소·학계까지 손잡고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글로벌 해양도시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