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시대 여는 유라시아 수출길 개척

부산시는 극동 및 유라시아 신흥시장으로 향하는 새로운 수출길을 열고 부산-훈춘-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물류 벨트 구축 기반을 마련했다. 러시아 최대 규모 제조업체 LOZHKA PLYUS 시찰.
부산시는 극동 및 유라시아 신흥시장으로 향하는 새로운 수출길을 열고 부산-훈춘-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물류 벨트 구축 기반을 마련했다. 러시아 최대 규모 제조업체 LOZHKA PLYUS 시찰.

【부산 = 서울뉴스통신】 박영기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은 지난 21일부터 26일까지 중국 훈춘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요 물류거점 지역에 '2025 부산시 물류개척단'을 파견해 중·러 지역 물류 협력 기반을 다지고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한 유라시아 수출길 개척에 나섰다고 밝혔다.

23일에는 부산 지역 물류기업인 레오나해운항공과 러시아 대표 물류기업 트리아다 DV가 부산-러시아 간 물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트리아다 DV는 연해주 및 극동지역에서 연간 10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 이상 운송 실적을 보유한 대표 물류기업으로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업은 ▲물류 및 공급망 관리 분야 협력 ▲정보‧기술‧자원 교류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 구축을 약속했다.

24일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부산-블라디보스토크 물류 활성화 포럼'을 열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공무원 및 양국 물류 전문가 50여 명이 참석해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한–러 협력 방안'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포럼에서는 ▲한-러 복합운송 기반 인프라 구축 ▲북극항로 활용 협력 방안 ▲북극항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 구체적인 실행 과제가 제시됐으며, 향후 지역기업의 유라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부산시-블라디보스토크시 공식 회의'에서는 부산과 블라디보스토크 간 인적·물적 교류 확대를 비롯해 ▲문화 ▲청소년 ▲체육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방안도 논의됐다.

안리푸드와 로쥐카플류스 등 현지 물류‧유통기업을 방문해 부산 식품‧소비재 기업의 극동 러시아 진출과 수출 네트워크 확대 방안을 협의했으며, 26일에는 나훗카항을 방문해 중고차‧석탄‧철광석 등 주요 수출 품목의 물류 운영체계를 점검하며 일정을 마무리했다.

시는 이번 개척단 파견을 통해 기존 미·중 중심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 극동 및 유라시아 신흥시장으로 향하는 새로운 수출길을 열고 부산-훈춘-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물류 벨트 구축 기반을 마련했으며, '부산-극동-유럽 복합 물류 루트'의 실질 협력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봉철 디지털경제실장은 “이번 물류개척단 파견은 북극항로 시대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부산의 미래 물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청사진이다”며, “이를 계기로 부산 수출기업의 신흥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부산이 동북아 물류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