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기 구조 전환…집값 연착륙 관리"
"입시경쟁 해소·AI 교육 강화, 교육 대전환"
"적극 재정투자·주식시장 정상화로 성장 동력 확보"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 교육, 금융시장, 재정, 대외투자 등 핵심 국정과제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먼저 부동산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부동산 투기가 여전히 우리 경제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며 "자금을 첨단산업과 일상 경제활동으로 옮겨 금융 대전환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집값이 급등하거나 급락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단발성 대책이 아닌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요·공급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교육 개편에 대해서는 "지금의 입시제도 논쟁은 과도한 경쟁 상태를 해소하지 않는 한 해법이 될 수 없다"며 "AI 시대에 맞는 교육과정을 전면 도입하고, 초등 저학년부터 인공지능 활용 능력을 기초교육처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정시·수시 논쟁에는 "본질적 문제는 경쟁 과잉"이라며 직접적 언급을 피했다.
금융·재정 분야에서는 "주식시장은 아직 정상화되지 않았다"며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상법 개정 등을 통해 소액주주를 보호하겠다"고 설명했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50억→10억) 문제에 대해서는 "시장 활성화를 저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국회 논의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재정 확장에 따른 국가채무 우려에 대해선 "GDP 대비 부채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다"며 "100조원 국채 발행은 씨앗을 뿌리는 투자"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미국 조지아주 불법취업 단속 사태와 관련해 "우리 기업들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며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정상적 비자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상황이라면 우리 기업들의 대미 직접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경제의 방향을 전환하고, 교육과 금융 시스템을 정상화하며, 재정으로 성장 동력을 만들겠다"며 "국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