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환자 2020년 1375명→2024년 1918명
20대 환자 비중 18%로 최다
"수면제·식욕억제제 등 오남용 방지대책 시급"

최근 5년간 의약품 중독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8만 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 청소년 환자가 40% 가까이 급증해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약국)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최근 5년간 의약품 중독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8만 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 청소년 환자가 40% 가까이 급증해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약국)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최근 5년간 의약품 중독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8만 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 청소년 환자가 40% 가까이 급증해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의약품 중독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8만268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6월 기준으로는 이미 7828명이 의약품 중독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의약품 중독 환자는 2020년 1만6256명에서 지난해 1만6018명으로 1.46% 소폭 감소했지만, 10대 환자는 같은 기간 1375명에서 1918명으로 39.49% 급증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만4949명(18.6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 1만1473명(14.29%), 50대 1만623명(13.23%), 30대 9757명(12.16%), 10대 8964명(11.17%) 순이었다.

남 의원은 “의약품 중독은 수면제, 해열제, 식욕억제제 등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물을 과다하게 복용하거나 장기간 남용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전체 환자는 줄었지만 10대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은 심각한 경고 신호”라고 말했다.

그는 또 “청소년들이 의약품을 쉽게 구매하거나 무분별하게 복용하지 않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당국이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