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곳 규모·20만명 활동…GDP 절반 규모의 범죄수익
대학생 사망사건 주범, 강남 학원가 마약사건 공범 확인
국정원 “캄보디아 방문 중단…국제공조 강화해 본거지 추적”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국가정보원이 캄보디아 내 스캠(사기) 범죄조직에 우리 국민 약 2000명이 가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이들은 단순 피해자가 아닌 범죄 공범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고수익 알바나 리크루팅 광고에 속아 현지로 이동하는 사례를 경고했다.
22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국회 정보위원회 현안보고 내용에 따르면 국정원은 “캄보디아 내 스캠범죄단지는 프놈펜과 시아누크빌을 포함해 약 50곳, 종사자는 20만명 규모로 추정된다”며 “일부 지역은 비정부 무장단체가 점거하고 있으며, 경제특구 곳곳에 범죄조직이 산재해 있어 단속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해당 조직은 2023년 기준 캄보디아 GDP의 절반에 해당하는 약 125억 달러의 범죄수익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며 “우리 국민 중 현지 거주자 및 스캠단지 인근 사업체 이용자 등을 종합할 때, 가담자는 1000~2000명 규모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캄보디아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6~7월 검거된 스캠범죄 피의자 3075명 중 한국인은 57명이며, 이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동남아 일대에서 한국인 보이스피싱 조직이 확대됨에 따라 현지 원점 타격식 정보 수집과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라오스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범죄조직이 한국에서 보이스피싱 중계기를 구입해 동남아에 공급하고, 국내에서는 대출앱을 위장한 악성앱을 제작해 캄보디아·한국·중국 범죄조직에 제공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사망사건의 주범이 지난해 서울 강남 학원가 마약사건의 총책 공범으로 드러났다고 확인했다. 이 사건은 지난해 4월 대치동 학원가에서 중·고등학생에게 ‘집중력 강화 음료’로 속여 마약음료를 나눠준 사건으로, 미성년자 13명이 피해를 입었다.
국정원은 “사건 발생 사흘째 정보 입수 후 8일 만에 주범을 특정하고 추적 중이며, 전담 추적팀을 캄보디아 현지에 추가 파견했다”며 “대통령의 특별지시로 10월 3일 신속대응팀을 현지에 급파해 캄보디아 정부와 공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후속 대응 방안으로 “아시아대테러정보협력체, 아시아 마약정보협력체 등 다자 정보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제공조를 강화하고, 범죄조직이 인접국으로 이동할 가능성에 대비해 추적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국과 영국이 제재 중인 프린스그룹 관련 조사와 함께 중국, 일본, 호주 등 정보기관과 자금추적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캄보디아 스캠범죄 합동TF를 조속히 출범시킬 계획이다.
국정원은 “귀국 후 다시 범죄에 가담하려는 사례를 막기 위해 외교부·법무부·경찰청과 협력해 여권무효화, 출국금지, 인터폴 적색수배 등 조치를 추진할 것”이라며 “청년층이 ‘고수익 해외근무’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선원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이 국정원에 캄보디아 스캠범죄 근절을 조직의 사활을 걸고 추진하라는 특별지시를 내렸다”며 “국정원이 국제범죄·마약·사이버 범죄까지 포함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