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1명 중 주거용 부동산 4527채…정부 고위관료 평균 1.89채
가액 기준 절반 이상이 서울…강남 3구로 쏠림 현상 심화
최다 보유자는 강남구청장…본인·배우자 합산 42채 신고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이재명 정부 고위공직자와 국회의원 등 2581명의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보유한 주거용 부동산이 약 2조3156억원, 총 4527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직 평균 보유 주택 수는 1.89채로, 공직사회의 다주택 구조가 여전히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리더스인덱스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공직자 전체 재산은 5조7134억원이며, 이 가운데 건물 자산만 3조3556억원(58.7%)을 차지했다. 주거용 부동산은 그중에서도 핵심 비중을 이루며, 특히 정부 고위관료가 1인당 평균 1.89채로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했다. 지자체장 1.87채, 지방의회 및 공공기관 임원 1.71채가 뒤를 이었다.

국회의원만 놓고 보면 평균 1.41채였지만 정당별 차이가 존재했다. 국민의힘 의원은 평균 1.68채로 가장 많았고, 민주당은 1.33채, 조국혁신당은 0.67채, 소수정당 및 무소속 의원은 평균 0.8채로 나타났다. 가액 기준으로도 국민의힘 의원들이 전체 국회의원 보유액의 57.4%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주거용 부동산은 △아파트가 58.9%(2665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가액만 따지면 전체의 76.7%에 해당하는 1조7750억원 규모였다. 이어 단독주택 16.6%, 복합건물 8.6%, 오피스텔 6.9%, 다세대·연립·다가구주택이 합산 9%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편중이 매우 두드러졌다. 서울 내 주택은 총 1344채(29.7%)로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가액은 1조3338억원으로 전체의 57.6%에 달했다. 수도권 전체(서울·경기·인천)를 합치면 정확히 50%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특히 서울에서는 강남 3구의 집중도가 압도적이었다. 강남·서초·송파 3구가 합산 558채(서울 주택의 41.5%)였고, 용산구(74채)가 뒤를 이었다. 고위 공직자의 주택 보유가 고가 지역에 집중되는 양상이 분명히 드러난 셈이다.

개인별 최다 보유자는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었다. 그는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총 42채를 신고했으며, 강남구 아파트 1채, 고양 오피스텔 38채, 속초 오피스텔 1채, 배우자 명의 복합건물 2채가 포함됐다.

이번 조사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등록 의무가 있는 국가·지방 정무직 및 4급 이상 공무원, 공직유관단체 임원 등을 대상으로 본인과 배우자, 직계가족 명의의 모든 주거용 부동산을 분석해 도출한 결과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