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지명 “재악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아무런 근거 이유도 없이 강제파기하고 일본의 천황의 이름을 딴 천황산(天皇山)으로 이름을 바꿔 버렸다.
이후, 정부는 광복. 6.25전쟁 등 혼란기를 겪으면서 1961년도 경제개발 착수 수준점 제정 고시가 필요하여 제대로 된 명확한 검증확인 없이 2개의 산(천황산, 재약산)으로 지명 결정 고시를 하여 고유지명 ‘재악산’명칭은 사라지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천황산과 재약산 명칭이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고 있다.
국가 지명위원회는 1995년 광복50주년이 되는 해 경남도 지명위원회의 의결내용(당시-재약산 개명건의)을 보고받아 심의한 결과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하여 유보 결정된 바 있다.
이로 인하여 그동안 일재잔재 청산요구와 민족정기회복 등 반복적인 민원제기와 전화항의 등 산(山)지명에 대한 혼란과 갈등을 야기 시켜왔다.
밀양시 산(山)지명변경, 고유지명 복원계획(안)을 보면 ① 天皇산과 載藥산은 ⇒ 재악산(載岳山) 하나의 산으로, 행정구역을 단장면 구천리로 변경 (고유지명 복원 표준화) ② 재藥산은 ⇒ 수미봉(須彌峯)으로 변경(고유지명 복원)할 계획이다.
밀양시는 수치의 역사로 잘못된 이를 바로잡고자 광복 70돌을 맞아 훼손된 옛 고유지명 ‘재악산’지명복원을 위해 올해 초 복원계획을 수립하여, 검증확인자료 유적물 고지도 각종 역사문헌 등 사료를 수집 확인 하였으며, 5월 15일 밀양시 지명위원회를 열어 지명 변경(안)을 심의할 계획이다.
재악산 명칭의 유래는 옛부터 오악산(백두산.묘향산.금강산.삼각산.지리산)의 정기를 실은 산이라 하여 “재악산” 이라 명명하였으며. 고지도 옛 문헌 등 수많은 자료 등에서 기록되어 있음이 확인됐다.
밀양시는 과거사로 잘못 점철된 역사의 단절, 굴절 왜곡된 역사관을 정립하고 자주국권 민족정신계승 발전을 위해, 큰 산의 요소를 두루 갖춘 원 고유지명 복원으로 백년 이상 말살된 민족정기회복과 일제 잔재 과거사 청산으로 국가와 지방자치발전의 초석을 만들고자 한다.
또 잠재된 자연자원의 부가 콘텐츠 개발 및 관광 자원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창조경제의 기틀을 마련하여 21세기 새 천년의 맥을 잇고, 미래 백년 열린 행복도시 힘찬 미래도시의 새 역사 지평을 열어 국가와 지역 발전을 위해서 고유지명 복원은 반드시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명변경은 밀양시 지명위원회에서 심의 의결이 되면 경남도 지명위원회를 거쳐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