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GS그룹, 교류회…이차전지·新모빌리티·수소 등 논의
GS에너지·GS칼텍스·포스코에너지·인터내셔널 경영진 참여
허태수 회장 "미래 신사업 발굴 확장해 생태계 구축"
최정우 회장 "수소,배터리 등 多사업 협력 기틀 마련"

【서울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GS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및 수소사업 등 핵심 신사업 협력을 통한 미래 성장 기반을 준비한다.
허태수 GS그룹 회장과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7일 오후 역삼동 GS타워에서 만나 ‘GS-포스코 그룹 교류회’를 갖고 新모빌리티 등 5개 분야에서 양사의 핵심 신사업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교류회에는 GS그룹 측에서 ㈜GS 홍순기 사장, GS에너지 허용수 사장과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 등이 참석했으며, 포스코그룹에는 정기섭 포스코에너지 대표, 정창화 신성장부문장, 포스코인터내셔널 식량소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허태수 회장은 "양사가 보유한 역량과 자산, 기존 사업을 바탕으로 서로 협력해 나간다면 새로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디지털을 접목한 친환경 중심의 미래 사업을 함께 발굴하고 성장시켜 고객과 사회를 위한 가치 창출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최정우 회장은 "코로나 펜데믹으로 미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기후변화 위기가 한층 고조돼 탄소중립을 위한 대규모 투자 및 사업구조 개편은 기업 경영의 상수로 자리 잡았다"면서 "이번 교류회가 수소, 배터리 등 빠르게 성장하는 친환경 시장을 포함한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그룹 차원의 협력 기틀을 마련한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우선 GS그룹과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및 新모빌리티' 분야 협력을 논의했다.
포스코는 지난 5월 화유코발트사와 합작으로 '포스코HY클린메탈'을 설립하고, 이차전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스크랩을 주원료로 활용하는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9년에는 폐배터리 발생량이 이차전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스크랩 발생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폐배터리 회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GS그룹이 보유한 자동차 정비 및 주유, 글로벌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원료공급을 위해 포스코그룹과 합작법인(JV) 설립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GS에너지가 투자 중인 전기차 배터리 상태를 진단·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폐배터리를 정비, 재사용 또는 재활용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서비스형배터리(BaaS) 사업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수소사업’ 분야에서는 해외프로젝트 공동 참여 및 신규 수요처 발굴 등 블루·그린수소 생산부터 저장, 운송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양 그룹은 수소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도 이날 체결했다.
또한 양측은 ‘친환경 바이오 사업’분야에서도 협력을 약속했다. GS칼텍스의 바이오 연료 생산기술 및 판매 인프라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보유한 팜(야자나무) 농장 및 가공 설비를 활용해 팜 정제유 사업 확대 및 재생 원료 기반의 바이오항공유 등 차세대 바이오연료 사업을 위한 협력방안 등이다.
더불어 양 그룹이 보유한 벤처 투자 인프라를 활용한 이차전지 및 수소 분야 유망기업 공동발굴, 주요 사업장 탄소저감 활동 추진 등 ESG 경영 등에서도 협력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