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문신, 타투 업계 등 법제화 움직임 일선 앞장서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국내 문신사, 타투이시트 등을 위한 법제화 움직임에 국회 더불어민주당 문화강국위원회 유정주 국회의원이 업계와 간담회를 가지며 소통강화에 나선다.
지난 20일, 국회 유정주 의원측과 문화강국위원회 반영구화장, 타투 예술분과는 '세계 문신문화산업의 확대가 한국의 대중문화예술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과제'란 주제로 '문신사 양성화 정책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반영구화장, 타투법제화 TF팀을 이끄는 대한문신사중앙회 임보란 회장은 "한국은 아직도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문신을 의료행위로 간주하는 국가로, 문신사를 단속하고 처벌하는 환경으로 산업화는 외국에 비해 굉장히 저조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문신사 등 업계는 "그 영향권이 아주 벗어나 있지는 않다고 본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타투 법제화를 위한 이들 업계는 "산업화에는 제약을 받고 있었지만, 세계 시장에서 가지는 권위와 영향력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문신사중앙회 임 회장은 "해외에서는 우리가 세계 시장에서 가지는 권위와 영향력 만큼이나 국내 시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이 이뤄지고 타두 에디션 제품이 출시되며, 위생용품 의약품 화장품과 미용기기들이 문신기술과 결합돼 출시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들 단체가 주장하는 문제는 타투 및 문신 등 관련 산업이 첨단의 기술은 아니지만 융합된 신상품인데도, 현 정부가 인정하지 않는데 있다는 것이다. 정부측이 얘기하는 골자는 그냥 문신용품이라는 것.
문신사중앙회 임 회장은 "20~30대 젊은 타투이스트가 수천만원의 비용을 들여 미국 변호사를 선임하고, 워킹비자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외국 면허와 자격증 취득비용 조차도 만만치 않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사기꾼과 브로커를 잘못 만나 꿈과 희망을 잃고 좌절하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임 회장은 "조금만 관심을 갖고 이미 있는 규정만 바꿔도 수출을 확대하고, 해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데, 정부와 국회는 현황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한편, 이날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해외 문신산업의 동향', '문신융합산업' , '문신사 해외 창업과 취업에 필요한 지원', '국민을 위한 문신사법제정' 등을 내용으로 여러 단체장이 직접 발제를 하고, 이에 대해 유정주 의원의 질의와 응답을 통해 대응 방법 등을 논의한 순서로 진행됐다.
유정주 의원은 "해당 과제를 정리해 정부정책에 반영되도록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