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염재 기준 및 설치 지침’ 제정안 행정예고
국가유산별 맞춤형 설치 방식 및 작업자 안전 수칙 포함
"준불연 이상 성능 확보…향후 별도 기준도 검토"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잇따른 대형 산불로 인해 국가유산이 위협받는 가운데, 국가유산청이 문화재 보호를 위한 ‘방염포 설치 지침’을 새롭게 마련했다.
국가유산청은 8일 산불 등 화재 발생 시 문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유산 방염재 기준 및 설치 지침’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침은 방염재의 성능 기준부터 설치·해체 방식, 작업자 안전 수칙까지 포함해 실질적인 재난 대응 매뉴얼로 기능할 전망이다.
방염재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천이나 막 형태의 자재로, 일정 면적 이상 불이 번지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췄다. 지침에 따르면, 방염재는 국가유산의 유형과 규모, 그리고 산불 양상에 따라 설치 방법을 달리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예를 들어, 석탑이나 비석, 불상 등 비교적 소형이고 이동 가능한 유산의 경우,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피를 우선으로 한다. 반면, 이동이 어려운 국가유산은 높이에 따라 가설 비계나 금속 프레임 등을 활용해 방염포로 전체를 감싸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높이 2m 이상인 목조건축물이나 기념비 등은 산불 상황에 따라 건물 전체를 신속히 덮는 형태로 방염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국가유산의 훼손을 방지하고 화재에 취약한 부위가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처마 부위를 따라 방염포를 고정하되, 기상 상황과 유산 특성에 따라 유연한 설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방염포의 성능에 대해서도 엄격한 기준이 마련됐다. 지침은 국가인증기관으로부터 준불연(난연 2급) 이상의 성능 인증을 받은 자재만 사용 가능하도록 했으며, 향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의 실험 및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별도 성능 기준도 제시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번 지침 제정은 지난 3월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일부 국가유산이 피해를 입은 데 따른 후속 조치로, 당시에는 구체적인 현장 대응 지침이 없어 보호 조치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지적이 있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제정안은 단기적으로는 방염재 활용 기준을 명확히 하고, 장기적으로는 국가유산 맞춤형 방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현장 의견과 연구 결과를 반영해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