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은 유능의 지표, 분열은 무능의 결과”
“민생 회복·비상경제TF 즉시 가동…내란 책임 철저히 규명”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4일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정의로운 통합정부, 유연한 실용정부를 만들겠다”며 국민 통합과 실용주의를 기조로 한 국정운영 방침을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선서 직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이번 대선에서 누구를 지지했든 모든 국민을 섬기는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며 화합과 공존의 시대를 여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그는 “혐오와 대결의 정치를 끝내고 공존과 연대의 다리를 놓아 국민행복 시대를 열겠다”며, “분열은 무능의 결과이고, 통합은 유능의 지표”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을 편 가르고 혐오를 조장하는 정치는 설 자리가 없다”며, “국민통합을 동력 삼아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민생과 경제 회복 의지도 강하게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벼랑 끝에 몰린 민생을 되살리기 위해 비상경제대응TF를 즉시 가동하고, 국가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불황과 일전을 치를 각오로 경제에 정면 대응하겠다”며 위기 극복에 정부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한 지난 내란 사태에 대한 책임 규명도 약속했다. 그는 “민생, 경제, 안보, 평화, 민주주의 등 무너진 질서를 회복하겠다”며, “국민이 맡긴 총칼로 국민주권을 빼앗는 내란은 다시는 재발돼선 안 된다.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 추궁, 재발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실용주의 노선도 분명히 했다. 그는 “낡은 이념은 역사의 박물관으로 보내야 한다”며 “박정희 정책이든 김대중 정책이든 유용하다면 가리지 않고 쓰겠다”고 말했다. 정부 운영 방향에 대해 “지원하고 격려하는 정부, 창의와 능동성이 살아있는 시장 중심 정부가 되겠다”고 설명하며, 규제 체계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로 경제·안보 전환기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것”이라며, 한미동맹 기반의 안보 강화와 한미일 협력, 주변국과의 실용외교를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대북 정책과 관련해서는 “강력한 억지력을 바탕으로 북한과의 소통 창구를 열고,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미래 산업과 기후위기 대응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기술에 대한 투자와 함께 재생에너지 중심의 사회로 전환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또 “균형발전과 공정사회, 공정성장 전략으로 발전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약속했다.
끝으로 이 대통령은 한강 작가의 말을 인용하며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가 산자를 구했다. 이제 우리가 미래의 과거가 되어 후손을 구할 차례”라며 “작은 차이를 넘고 서로를 존중하는 진짜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자”고 국민 통합과 희망의 메시지로 취임사를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