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침투는 정밀한 사이버 공격…국가 개입 필요”
“정보보호 체계 전면 재설계…민간 인프라도 공공 안전의 대상”
정무위 차원서 청문회 추진…“최태원 회장 직접 소명해야”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국민의힘이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사건을 두고 “단순한 기술 사고가 아닌 사이버 침략”이라고 규정하며,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불러 국회 청문회를 여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19일 국회에서 SKT 소비자 권익 및 개인정보보호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SKT 해킹은 3년 전부터 악성코드를 심으며 준비된, 국가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장기적이고 정밀한 침투였다”며 “중국 해커집단이 중동과 아시아 통신망을 공격할 때 사용한 수법과 유사하다. 단순한 사이버범죄가 아닌 침략”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제는 정보보호 체계를 근본부터 재설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기업의 보안 책임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가 단순히 뒤에서 지켜보기만 해서는 안 된다. 민간 인프라일지라도 국민의 개인정보가 연결된 만큼 국가가 개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논의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강민국 의원은 구체적으로 청문회 추진을 언급했다. 그는 “SKT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현재 조사 방식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과거 정무위에서 MBK 홈플러스 사태 청문회를 진행한 전례가 있는 만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국회에 출석시켜 소명하게 하는 청문회를 추진할 생각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또 “SKT는 SK그룹 전체 매출에서 9%를 차지하는 핵심 계열사이자, 국가 통신 인프라를 담당하는 기업”이라며 “사태의 중대성을 감안하면 최 회장이 국민 앞에 직접 해명해야 할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해킹사건에 대한 국민의힘의 대응은 단순한 기업 보안 문제를 넘어 국가안보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청문회 개최 여부와 향후 입법적 대응이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