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이후 매도·매수 희망가 차이 확대…거래 실종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감…중위 거래가·면적도 동반 하락
추가 대책 예고에 불확실성 확산…전문가 “공급 대책 병행해야”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남산에서 바라본 풍경)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남산에서 바라본 풍경)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매도자와 매수자 간 희망 가격 차이가 벌어지면서 거래가 좀처럼 성사되지 않고 있고, 일부 지역에선 호가를 낮춘 급매물조차 외면당하는 실정이다.

서울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인근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호가를 수천만 원 낮춘 매물도 연락조차 없는 상황"이라며 "매수 문의가 뚝 끊기면서 사실상 개점휴업"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서로 다른 꿈을 꾸는 ‘동상이몽’ 상태”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급등하는 서울 집값과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 수도권·규제지역 내 6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제한하고, 전입 의무 및 기존 주택 처분 요건 등을 강화하는 내용의 초강수 규제책을 내놨다. 이에 따라 1주택자는 새 주택 매수 시 기존 주택을 6개월 내 처분해야 하며, 다주택자는 주담대 이용 자체가 금지된다.

이러한 규제 조치로 인해 거래 위축은 빠르게 현실화됐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책 발표 전인 6월 10일부터 27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2만여 건이었으나, 발표 이후인 6월 28일부터 7월 15일까지는 5529건으로 73% 급감했다. 서울 역시 같은 기간 7150건에서 1361건으로 줄어들며 뚜렷한 거래 절벽을 보였다.

거래뿐 아니라 중위 거래가격과 전용면적도 줄었다. 서울 아파트의 중위 거래가는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하락했고,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축소됐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둘째 주 ‘주간 아파트 동향’에서도 상승세 둔화가 확인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했지만, 이는 전주의 0.29%보다 둔화된 수치로 3주 연속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다. 특히 강남권 3구는 상승세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폭은 일제히 하락했다. 강남구는 0.34%에서 0.15%, 서초구는 0.48%에서 0.32%, 송파구는 0.38%에서 0.36%로 각각 둔화됐다.

시장에선 정부의 추가 규제 예고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며 매수자들이 한층 더 신중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권대중 서강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대출 규제가 단기적으로 과열된 시장을 진정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당분간은 거래 절벽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집값 안정을 위해선 대출 규제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시장의 공급 불안 심리를 해소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급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