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발언서 국정 방향 제시…민생·경제·외교·검찰개혁 등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최대 관심사
대북정책·검찰개혁·부동산 등 현안 산적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취임 100일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국정 운영 방향과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직접 밝힌다.
회견은 오전 10시 대통령실에서 시작되며,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위한 정책 비전을 설명한 뒤 약 90분 동안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이번 회견은 민생·경제,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세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사전 질문을 정해놓지 않고 자유롭게 진행되지만, 국민적 관심이 높은 사안이 빠지지 않도록 분야별 필수 질문을 포함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특히 민생·경제 분야에서는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 대주주 기준’이 최대 관심사다. 기획재정부가 현행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낮추자는 방안을 검토 중인 반면, 여당은 현행 유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이 대통령이 어떤 방향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부동산 정책, 국가채무 부담 문제 등도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외교·안보 분야에서는 미국 조지아주에 구금된 한국인 노동자 송환 문제, 대북정책 구상, 한미동맹 현대화 전략과 이에 따른 미국의 ‘안보 청구서’ 대응, 청와대 복귀 여부 등이 주요 쟁점으로 거론된다.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검찰 수사·기소 분리 이후 후속 입법 과제인 보완수사권 문제가 중심이 될 전망이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전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가능한 많은 질문을 받겠다는 의지를 밝혔다”며 “지난 30일 기자회견 당시보다 더 많은 질문을 소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견의 슬로건은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으로 정해졌으며, ‘더 나은 경제, 더 자주 소통, 더 큰 통합’이라는 콘셉트를 내세웠다. 취임 100일을 맞아 국민 앞에서 국정 성과와 과제를 설명하는 이번 회견이 향후 이재명 정부의 정치적 행보와 정책 추진 동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