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9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트럼프 2기 이후 첫 조정
파월 "위험 관리 차원" 발언에 증시 기대감 반감
위원 간 이견 뚜렷…연내 추가 인하 불확실성 확대

【서울 = 서울뉴스통신】 권나영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뉴욕증시는 오름세와 내림세가 엇갈리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60.42포인트(0.57%) 오른 4만6018.32를 기록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41포인트(0.10%) 내린 6600.35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72.63포인트(0.33%) 떨어진 2만2261.33으로 거래를 마쳤다.
연준은 16~17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4.0~4.2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다섯 차례 동결을 유지하다 9개월 만에 단행된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이다. 발표 직후 연내 2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시장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이번 결정을 “위험 관리 차원의 인하(a risk management cut)”라고 표현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자 투자심리는 빠르게 식었다. 이는 추가 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으나 전면적인 완화 기조로 전환된 것은 아니라는 신호로 해석됐다.
실제 연준의 점도표에서도 위원 간 의견 차이가 두드러졌다. 연내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한 위원이 9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현 수준 유지를 지지한 이가 6명, 단 한 차례 0.25%포인트 인하 의견을 낸 이가 2명으로 나타났다.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소수 의견과 큰 폭 인하를 주장한 의견도 확인돼 향후 통화정책 방향은 불투명성이 커진 상황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이번 행보가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선제 대응 성격이 짙지만, 파월 의장의 신중한 메시지 탓에 증시가 뚜렷한 방향성을 잡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