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개발 시대 저물어…도시정비·매입임대가 해법”
“중소건설사 참여로 골목경제 활성화 기대”
“2030년까지 공급 평탄화…매년 3만5000호 목표”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도심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매입임대 방식을 적극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도심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매입임대 방식을 적극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도심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매입임대 방식을 적극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현 정부 임기 내 매입임대주택을 20만호까지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 사장은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의 질의에 “지난 9·7 주택공급 대책에서 제시된 14만호보다 현실적인 보강이 필요하다”며 “매입임대를 통해 최대 20만호까지 공급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9·7 대책에는 신축 또는 기존 주택을 LH가 매입해 임대하는 ‘매입임대’ 방식으로 14만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이 중 12만6000호는 LH가, 나머지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지방공사가 담당하게 된다.

이 사장은 “택지 개발로 대규모 주택을 공급하던 시대는 저물고 있다”며 “이제는 서울과 같은 도심에서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 중심으로 주택정책의 무게중심이 옮겨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매입임대는 제도가 잘만 운영되면 서민 주거안정과 도심공급 확대 모두에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매입임대는 빌라 등 중소형 주택을 중심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중소건설사의 참여를 촉진하고, 지역 상권을 살리는 효과가 있다”며 “민간이 수요를 직접 발굴해 신청하는 구조이므로 도심 내 수요자 친화적 주택 공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공급계획과 관련해 그는 “매입임대 물량을 20만호로 늘리는 대신, 2030년 이후로 몰리는 택지개발 물량을 조정하면 주택공급의 평탄화가 가능하다”며 “지난해 약 3만9000호를 약정했고, 올해도 최소 4만호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이 같은 추세가 유지된다면 이재명 정부 임기 5년간 매년 3만5000호 이상, 총 20만호 규모의 매입임대주택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편 이한준 사장은 다음 달 10일 3년 임기를 마칠 예정이다. 지난 7월 사표를 제출했으나 아직 수리되지 않은 상태다. 이날 민홍철 의원이 “LH의 구조적 문제점을 두고 마음을 비웠느냐”고 묻자, 그는 미소로 답하며 현장의 분위기를 누그러뜨렸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