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대 연구진 “제왕절개 산모 3분의 2, 심한 통증·수면 장애 호소”
자연분만 산모는 8% 수준…출산 1년 내 수면장애 진단 가능성 16%↑
“출산 후 지속적 불면·통증, 전문 진료 필요” 권고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이 자연분만 산모보다 출산 후 통증과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현저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사진 = 유토이미지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이 자연분만 산모보다 출산 후 통증과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현저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사진 = 유토이미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이 자연분만 산모보다 출산 후 통증과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현저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Daily Mail)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마취통증의학 전문의 무 타케노시타(Mu Takenoshita) 박사 연구팀은 최근 출산 여성 40여 명을 대상으로 출산 후 통증 및 수면 상태를 비교 조사했다.

조사 대상 중 17명이 제왕절개로 출산했으며, 이들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심한 통증과 수면장애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자연분만으로 출산한 23명의 산모 중에서는 통증이나 수면장애를 보고한 비율이 약 8%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추가적으로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출산한 여성 150여 명의 의료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제왕절개를 경험한 산모는 자연분만을 한 산모보다 출산 후 1년 이내 수면장애(불면증, 수면 부족, 수면 무호흡증 등)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1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제왕절개 출산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미국에서는 전체 출산의 약 3분의 1, 영국에서는 4명 중 1명이 제왕절개를 통해 출산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연구진은 “제왕절개는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의료행위이지만, 수술적 특성상 회복 과정에서 수면장애나 만성 통증 위험이 높다”며 “의료진은 제왕절개를 계획하는 산모에게 이러한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출산 후 수면 문제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회복 과정으로 넘기지 말고, 수면의학 전문의나 통증클리닉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