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고가 비중 6월 22%→9월 24%로 상승
서초 54%·광진 50%·과천 57%…한강벨트도 동반 강세
전문가 “10·15 대책 이후 선택적 회복세 이어질 듯”

월간 매매거래량 및 신고가 비중. (2025.10.20) / 그래픽 = 직방 제공
월간 매매거래량 및 신고가 비중. (2025.10.20) / 그래픽 = 직방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 대출 규제 이후 잠시 주춤했던 아파트 매매 시장이 9월 들어 다시 달아오르며,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직전까지 신고가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2025년 6월부터 10월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했다. 10월 거래량은 아직 집계 중이지만, 현재까지의 추세는 9월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9월 기준으로는 서울 서초구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54%로 가장 높았으며,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로 나타났다.

이번 10·15 대책으로 규제지역으로 추가 지정된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마포구(44%) △성동구(43%) △광진구(50%) △동작구(36%) △강동구(37%)—에서도 신고가 거래 비중이 빠르게 확대됐다. 핵심지에서 시작된 거래 회복세가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 여파로 영등포구(29%), 양천구(28%), 서대문구(24%) 등 주요 생활권 지역의 신고가 거래도 늘었다. 반면, 노원(1%), 도봉(2%), 금천(2%) 등 외곽 지역은 여전히 한 자릿수 비중에 머물러 상승세 확산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역시 서울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9월 기준 △과천(57%) △성남 분당구(43%) △하남(11%)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높았고, △성남 수정구(21%) △중원구(23%) △의왕(5%) △안양 동안구(9%)에서도 신고가 갱신 사례가 확인됐다.

다만 확산 속도는 지역별로 격차를 보였다. △용인 수지(8%) △수원 장안(8%) △팔달(6%) △광명(7%) 등 중간권 지역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였으나, 비규제지역은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제한됐다.

서울 주요지역 신고가 거래 비중. (2025.10.20) / 그래픽 = 직방 제공
서울 주요지역 신고가 거래 비중. (2025.10.20) / 그래픽 = 직방 제공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10·15 대책 발표 이후 시장이 단기적으로는 적응 기간을 거치며 거래량 조정이 나타날 수 있다”며 “그러나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로 이동하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는 대체 지역을 찾는 흐름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당분간은 시장 전체의 동반 상승보다는 입지·상품성·자금 여건에 따라 차별화된 ‘선택적 회복’ 구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