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윈윈 가능한 패키지 협상 중…국익과 상업적 합리성 최우선”
“우라늄 농축·핵연료 재처리 산업적 필요성 강조…美도 공감”
“방위비 증액 요구 없어…우리 입장 지켜냈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조현 외교부 장관이 한미 통상 협상에 정해진 시한은 없으며,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위한 협상이 곧 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23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한미 통상 협상은 어느 시점을 데드라인으로 정해놓고 진행하는 형태가 아니다”라며 “투자 구조와 수익 배분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결국은 양국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좋은 패키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 주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계기에 합의문이 발표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국익과 상업적 합리성을 기준으로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만약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시간을 두고 조율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안보 분야 협상에 대해서는 “미국과 큰 틀의 합의는 이미 이뤄졌다”며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도 당연히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안보 차원이 아니라 산업적 차원에서 우라늄 농축이 필요하며, 사용 후 핵연료가 곧 포화 상태에 이를 만큼 재처리와 재사용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며 “미국도 이러한 필요성을 이해했고, 관련 협상을 곧 시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방위비 분담금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도 증액을 요구하지 않았다”며 “우리 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입장을 충분히 지켜냈다”고 밝혔다.
한편, 조 장관은 오는 31일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결과 문서인 ‘경주 선언’**에 대해 “자유무역 체제를 완전히 복원하기는 어렵겠지만, 21개 회원국 정상들이 직접 만나 불안정한 국제 정치·경제 질서 속에서 협력 방향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