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윈윈 가능한 패키지 협상 중…국익과 상업적 합리성 최우선”
“우라늄 농축·핵연료 재처리 산업적 필요성 강조…美도 공감”
“방위비 증액 요구 없어…우리 입장 지켜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회계연도 결산보고를 하고 있다. (2025.08.18)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회계연도 결산보고를 하고 있다. (2025.08.18)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조현 외교부 장관이 한미 통상 협상에 정해진 시한은 없으며,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위한 협상이 곧 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23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한미 통상 협상은 어느 시점을 데드라인으로 정해놓고 진행하는 형태가 아니다”라며 “투자 구조와 수익 배분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결국은 양국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좋은 패키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 주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계기에 합의문이 발표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국익과 상업적 합리성을 기준으로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만약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시간을 두고 조율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안보 분야 협상에 대해서는 “미국과 큰 틀의 합의는 이미 이뤄졌다”며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도 당연히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안보 차원이 아니라 산업적 차원에서 우라늄 농축이 필요하며, 사용 후 핵연료가 곧 포화 상태에 이를 만큼 재처리와 재사용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며 “미국도 이러한 필요성을 이해했고, 관련 협상을 곧 시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방위비 분담금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도 증액을 요구하지 않았다”며 “우리 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입장을 충분히 지켜냈다”고 밝혔다.

한편, 조 장관은 오는 31일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결과 문서인 ‘경주 선언’**에 대해 “자유무역 체제를 완전히 복원하기는 어렵겠지만, 21개 회원국 정상들이 직접 만나 불안정한 국제 정치·경제 질서 속에서 협력 방향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