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방사사육 금지 위반·소독 미이행 등 다수 미흡”
전국 가금농장·전통시장 정밀검사 및 집중소독 실시
“겨울철 철새 본격 도래…전국 농가 모두 긴장해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7일 광주광역시 남구 소재 소규모 기타 가금농장(133 마리, 기러기 등 혼합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H5N1형)함에 따라 27일 관계기관·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방역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 사진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7일 광주광역시 남구 소재 소규모 기타 가금농장(133 마리, 기러기 등 혼합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H5N1형)함에 따라 27일 관계기관·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방역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 사진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광주광역시 남구의 한 소규모 기러기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진되면서 정부가 방역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고병원성 AI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7일 “광주 남구의 기타 가금농장(사육 규모 133마리)에서 H5N1형 고병원성 AI가 확인됨에 따라 관계기관 합동 방역대책회의를 열고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 농장은 지난 21일 특별방역대책기간 정기 예찰검사 중 H5형 항원이 검출됐으며, 정밀검사 결과 고병원성으로 최종 판정됐다. 농식품부는 일본 등 인근 국가에서도 최근 고병원성 AI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만큼, 철새 도래로 인한 국내 확산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해당 농장에서 방사사육 금지 위반, 가축사육업 미등록, 시설 소독 미이행, 축산차량 미등록 등 다수의 관리 미흡 사항을 적발했다. 이에 따라 관련 법령에 따라 과태료 부과, 살처분 보상금 감액 등 행정처분을 엄격히 적용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초동 대응팀을 현장에 즉시 투입해 농장 출입 통제, 살처분,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시행했다. 이어 21일 23시부터 22일 23시까지 전국 가금농장·도축장·축산차량을 대상으로 24시간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내리고 이행 여부를 점검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도 광주 남구 방역지역(반경 10km) 내에서 야생조류 폐사체 수색과 철새 정밀조사를 병행하고, 관할 지자체에 철새도래지 출입 통제 및 긴급 방역 강화 조치를 지시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확진을 계기로 AI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상향 조정하고,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중심으로 전국 지자체에 가축질병방역대책본부와 상황실을 가동했다.
심각 단계 격상에 따라 닭·오리 등 가금에 대한 정밀검사 주기가 단축되고, 육계·육용오리 농장의 입식·출하기간도 줄어든다. 또한 가금 관련 단체 모임과 행사도 전면 금지된다.

소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한 방역 취약 지역 점검도 강화된다. 정부는 전국 소규모 가금농장(996호, 100~2000수 미만)에 대한 방사사육 금지 이행 여부를 긴급 점검했으며, 281개 가든형 식당을 포함한 관련 시설의 정밀검사 및 방역 점검을 오는 11월 11일까지 실시한다.
또 100수 미만의 소규모 농장에 대해서는 전화 예찰을 통해 이상 개체를 조기 발견할 방침이다.

아울러 전국 가금농장의 등록 여부를 전수조사하고, 무허가·미등록 농가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정부는 AI 확산 차단을 위해 광주 지역 가금농장 134곳을 비롯해 전국 전통시장 가금판매소(198곳), 가금 계류장(91곳), 축산차량(119대)에 대한 일제 정밀검사(10월 28일~11월 7일)를 실시한다.
또한 10월 28일부터 11월 10일까지를 ‘전국 일제 집중 소독 주간’으로 지정해 농장과 차량의 매일 소독을 의무화하고, 매주 수요일을 ‘전통시장 일제 휴업·소독의 날’로 운영한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겨울철 철새 도래로 감염 위험이 높아진 상황에서 전국 모든 농가가 안심할 수 없다”며 “농가와 지자체 모두 강화된 방역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특히 소규모 농가의 방사사육 금지, 주기적 소독, 시설 등록 등 기본 수칙 위반으로 추가 발생이 이어지지 않도록 관계기관이 현장 점검을 강화해달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