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53만 명 신청 마감…소득 하위 90% 대상 지급
카드형 지급 68% 차지…전남·전북·광주 등 높은 참여율
“서민 체감형 소비 회복 효과 기대…내수 활성화 견인”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가 추진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이 국민의 폭넓은 참여 속에 사실상 마무리됐다. 지급 대상자의 97.5%가 신청을 완료하면서 총 4조4527억 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는 3일 “지난 9월 22일부터 시작된 2차 소비쿠폰 신청이 지난달 31일 오후 6시부로 마감됐다”며 “총 4452만6949명이 신청해 대상자(4567만885명)의 97.5%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2차 소비쿠폰은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소득 하위 90%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서민 생활 안정을 돕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됐다. 이번 신청 결과에 따라 총 4조4527억 원이 국민에게 지급됐다.
지급 수단별로는 신용·체크카드 충전 방식이 3049만1675명(68%)으로 가장 많았고, △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743만5672명 △종이형 상품권 81만3598명 △선불카드 578만6004명 순이었다.
시·도별 신청률은 전남(98.14%)이 가장 높았으며, △전북(98.12%) △광주(98.08%) △대구(97.98%) △울산(97.95%) △경남(97.94%) △충북(97.92%)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97% 이상의 높은 신청률을 보이며 국민적 참여가 이어졌다.
이번 2차 소비쿠폰은 지난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15만~45만 원을 지급했던 1차 소비쿠폰과 달리, 소득 하위 90% 국민에게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지원 대상은 2024년 6월 기준 본인 부담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 합산액이 기준 이하인 가구로, 외벌이 직장가입자 기준 △1인 가구 22만 원 △2인 가구 33만 원 △3인 가구 42만 원 △4인 가구 51만 원 △5인 가구 60만 원 이하인 경우 해당된다.
또한 고액 자산가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구체적으로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 원(공시가격 약 26억 원, 시세 약 38억 원)을 초과하거나, 금융소득 합계액이 2000만 원(예금 약 10억 원 규모)을 넘는 경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국민 10명 중 9명 이상이 참여한 이번 소비쿠폰 사업은 실질적인 체감형 소비 진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소비심리 회복과 내수 활성화의 선순환을 이어가기 위해 지속적인 정책 보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