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대책’ 후속조치 일환…수도권 주택 2.8만호 착공 목표 지원
국토부·지자체 협력체계 구축·신규 사업지 발굴·사업모델 정립 추진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주거·복지·행정 통합 공간 조성”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정부의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 후속 조치로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TF를 신설하고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에 속도를 낸다.
LH는 10일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전담 TF를 구성했다”며 “△국토교통부·LH·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복합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 △관련 제도·법령 개선 지원 등 사업의 실행력 강화를 위한 기능을 집중 수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부가 지난 9월 발표한 9·7 대책에서 제시한 ‘국유지 및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통한 주택 2만8000호 착공 계획(2030년까지)’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LH가 추진하는 복합개발 모델은 주거시설과 행정·복지시설을 한 공간에 결합한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주민들이 한 건물 안에서 행정서비스, 돌봄, 문화생활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LH는 지금까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사업을 통해 전국 28개 지구, 4956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했다. 대표 사례로는 지난해 9월 서울 강동구에 준공된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가 있다.
천호3동 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로 조성됐으며, △1~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입주했고 △7~14층에는 공공임대주택 94호가 들어섰다.
이 같은 복합개발 방식은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도심 내 생활 인프라 확충, 공공자산 효율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강오순 LH 지역균형본부장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공급 확대와 공공자산 재활용,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사업”이라며 “전담 TF 신설을 계기로 노후 청사 개발사업의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을 보다 신속하게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