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입주율 전월 대비 7.2%p↓, 거래 침체 여파
미입주 사유 1위 ‘기존주택 매각 지연’ 40%
전문가 “10·15 대책 이후 수도권도 하락 전환 가능성”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주택 거래 침체가 입주 시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아 잔금을 치르지 못하거나 대출을 확보하지 못한 사례가 늘면서 입주를 미루는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4.0%로 전월(71.2%) 대비 7.2%포인트(p)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3.0%p 상승(82.9%→85.9%)했으나, 5대 광역시는 7.5%p(67.4%→59.9%), 기타 지역은 10.7%p(69.6%→58.9%) 각각 하락했다.
연구원은 “수도권의 소폭 상승은 10·15 부동산 대책 이전의 입주 상황이 반영된 결과”라며 “대출 규제 강화와 거래 위축이 본격화되면 수도권 입주율도 하락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주택 매각 지연(40.0%)이 가장 많았으며, △잔금대출 미확보(30.0%) △세입자 미확보(20.0%) 등이 뒤를 이었다.
10·15 대책 시행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주택은 세입자가 거주 중인 경우 매각이 불가능하고, 중도금과 잔금 모두 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받게 되면서 실수요자 중심의 거래가 위축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9.8로 전월(87.7)보다 7.9p 떨어지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7.1p(92.7→75.6), 광역시 5.2p(89.0→83.8), 도 지역 6.6p(84.9→78.3) 각각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거래 침체와 대출 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입주율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특히 미분양 증가와 기존 주택 매각 지연이 겹칠 경우 입주시장 위축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