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여성고용사업 이관으로 예산 확대
청년 남녀갈등 완화·디지털성범죄 대응 강화
아이돌봄 예산 200억 이상 증액…세종 이전 준비 연구용역도 포함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여성가족부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내년도 예산이 기존안보다 850억원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8월 이미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안을 편성한 데 이어, 정부조직 개편에 따른 추가 이관 사업과 국정과제 확대가 반영되며 총예산이 2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성평등부에 따르면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는 13일 성평등부 소관 2026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안을 의결했다. 기존 여가부 시절 편성된 2026년 예산안은 1조9866억원 규모였으며, 올해 1조7777억원 대비 11.8% 증가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성평등부 전환 후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심사 결과 약 852억7300만원이 추가 증액됐다.
이번 증액은 예결위 및 본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지만, 통과될 경우 성평등부 예산은 처음으로 2조원을 돌파하게 된다.
증액분 가운데 부처 확대 개편에 따른 직접 증가 규모는 135억원으로 집계됐다. 우선 노동부로부터 이관된 ‘여성경제활동 촉진지원’ 사업(117억9200만원)이 성평등부 예산으로 포함됐다. 새일센터를 통한 직업상담 프로그램 등 여성 고용 지원 정책을 직접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위한 2억1300만원이 추가 반영됐고, 부처 확대에 따른 인력 14명 충원으로 인건비 13억7400만원이 증액될 예정이다. 신설되는 고용평등정책관 조직 운영을 위한 기본경비 1억2400만원도 포함됐다.
이재명 정부의 중점 과제와 직결된 사업 역시 증액됐다. 이 대통령이 강조한 ‘청년 남녀 갈등 완화’를 위한 청년세대 성별균형 문화확산 사업은 기존 6억6300만원에서 4억원 추가돼 총 10억6300만원이 투입된다. 성별 인식조사 2억원, 청년 소통 플랫폼 운영 2억원 등이 반영됐다.
디지털성범죄 대응 체계도 강화된다.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인력 16명 충원과 통합 대응 추진단 운영 등을 포함해 총 23억2700만원이 증액된다.
생활 밀착형 정책인 아이돌봄서비스 확대를 위한 예산도 크게 늘었다. 아이돌보미 수당 확충, 저소득 맞벌이 지원 확대 등으로 227억6800만원이 추가 반영됐다.
세종청사 이전 준비와 관련해 성평등부는 1억원 규모의 연구용역비를 확보하며 이전 계획을 위한 사전 검토에 들어간다.
성평등부 예산안은 향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