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관세 분야 핵심 합의 공유…부처별 이행 과제 점검
자동차·농산물·디지털·지재권 등 폭넓은 분야 포괄
“한미 통상 환경 안정적 관리…FTA 공동위서 구체화”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0일 오후 서울 송파구 한국철강협회에서 '글로벌 철강 보호무역조치 관련 민관 합동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11.10) / 사진 = 산업통상부 제공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0일 오후 서울 송파구 한국철강협회에서 '글로벌 철강 보호무역조치 관련 민관 합동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11.10) / 사진 = 산업통상부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의 통상 분야 후속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머리를 맞된다. 산업부는 1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제51차 통상추진위원회를 열고 각 부처와 후속 과제 이행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한미 정상회담 공동 설명자료(Joint Fact Sheet)에 담긴 주요 합의사항을 공유하는 한편, 비관세 분야별 필요한 조치를 세부적으로 점검한다. 공동 설명자료에는 △자동차 △농산물 △디지털 무역 △경쟁 정책 △지식재산권 △노동 △환경 △경제안보 협력 등 폭넓은 이슈가 포함돼 비관세장벽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통상교섭본부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다음달 중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한미 FTA 공동위원회를 개최해 실질적 이행방안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공동위원회는 양국 간 통상 현안을 조율하는 공식 채널로, 비관세 분야 협의의 핵심 단계가 될 전망이다.

여 본부장은 "그간 지난한 협상 과정을 거쳐 관세협상이 최종 타결된 만큼, 비관세 분야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 한미 통상 환경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 FTA 공동위원회 수석대표로서 비관세 협의를 원활히 매듭지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긴밀한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