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PIR 13.9배…전국 최고 수준
생애 첫 주택 마련 기간 7.9년으로 증가
임차가구 RIR 15.8%…전·월세 부담 지속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국민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서울에서 집 한 채를 사기까지 14년 가까이 걸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중간값 기준 △13.9배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PIR은 가구가 소득을 전혀 소비하지 않고 저축했을 때 해당 지역 평균 주택을 구매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의미한다.
서울에 이어 높은 PIR을 기록한 지역은 △세종 8.2배 △경기 6.9배 △대구 6.7배 △인천 6.6배 순이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8.5~8.7배로 높은 편이며, 광역시는 △6.3배, 도 지역은 △3.7~4.0배였다.

임차 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IR)은 중간값 기준 △15.8%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세입자들이 매달 소득의 약 6분의 1을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다는 의미다.
가구주가 독립한 후 생애 첫 ‘내 집 마련’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7.9년으로, 전년(7.7년) 대비 약 2개월 늘었다.
전국 자가보유율은 △61.4%로 전년(60.7%)보다 상승했고, 본인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점유율 역시 △58.5%로 전년 57.4%에서 올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6만1000가구를 방문 면담 방식으로 실시됐다.

관련기사
이성현 기자
sotiere@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