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까지 1만 세대 공급…한강변 핵심 주거지로 재탄생
공사비 갈등 대비 사전 모니터링·코디네이터 파견
8개 구역 전부 2027년 착공 목표…사업 기간 대폭 단축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서울시가 노량진 재정비촉진지구(재촉지구) 8개 구역을 2027년까지 모두 착공시키기 위한 종합 지원에 나섰다. 시는 신속통합기획 2.0과 재정비촉진사업 규제혁신을 통해 사업성을 강화하고 절차를 단축해 노량진 일대 대규모 주택 공급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노량진 재촉지구를 방문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6구역의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10여년간 답보 상태였던 노량진 사업이 6·8구역 착공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만큼, 나머지 구역도 하루라도 빨리 착공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인해 시공사와 조합 간 갈등 가능성이 커진 만큼, 사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갈등이 발생하면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즉시 투입해 사업 지연을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용적률 상향 등 규제 완화 혜택을 적용받는 1·3·4구역은 이주와 해체 절차가 늦어지지 않도록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노량진 재촉지구는 △기준용적률 10% 추가 상향 △법적상한용적률 1.2배 확대 △정비사업 인허가 절차 개선을 통한 사업 기간 단축(18.5년→12년) 등 이른바 ‘재촉사업 규제혁신’과 ‘신통기획 2.0’의 주요 혜택을 모두 적용받는 대표 사업지로 꼽힌다. 서울시는 이 같은 제도 개선으로 각 구역의 사업 속도가 본격적으로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31년 모든 구역이 준공되면 노량진 일대에는 약 1만 세대의 신규 주택이 공급된다. 이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한강벨트 19.8만 호 공급 계획에서도 핵심적인 신호탄 역할을 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선호도가 높은 지역부터 대규모 주택 공급이 이뤄질 경우 시장 안정 효과도 점차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