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3연속에도 서울 집값 강세…“수급 불균형이 근본 원인”
공급까지 최소 4~5년…“버티면 오른다” 학습효과 여전
한강벨트는 오름폭 확대…매물 급감하며 시장 불안 심리 고조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이재명 정부가 잇따라 부동산 규제 대책을 발표하며 시장 안정에 나서고 있지만, 서울 집값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최근 발표된 6·27 대출 규제, 9·7 공급 대책, 10·15 규제지역 지정 등 3차례의 고강도 조치에도 서울 주요 지역에서는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면서 아파트 거래량은 급격히 줄었다. 그러나 거래량 감소가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고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등 상급지를 중심으로 오히려 상승 흐름이 나타나는 점은 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심리를 동시에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만성적 공급 부족이 근본 원인으로, 수요 억제 일변도의 규제 정책만 반복되면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정부가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가구 공급을 약속했지만, 정작 서울 강남·용산·마포 등 핵심 수요 지역은 공급 계획에서 빠졌다. 실제 착공까지도 최소 4~5년이 걸리는 만큼 단기 공급 불안심리는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10·15 대책 시행 한 달 만에 시장은 급격한 위축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6만2504건으로, 한 달 전 7만1656건에서 12.8%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기준으로도 대책 시행 이후 약 보름간 서울 거래량은 1640건에 그쳐 직전 같은 기간 5262건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거래절벽이 뚜렷하지만,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여전히 상승 중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7% 올랐다. 대책 발표 직전 0.54%였던 상승률은 △0.5% △0.23% △0.19% 등으로 둔화됐지만, 여전히 플러스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서초·송파·용산·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은 오름폭이 되레 확대됐다. 성동구는 0.29%에서 0.37%로 △0.08%p 상승했고, 용산구도 0.23%에서 0.31%로 올랐다. 송파구는 0.43%→0.47%, 서초구는 0.16%→0.20%로 상승폭이 커졌다.
부동산원은 “전반적 관망세로 거래는 한산하지만, 선호도 높은 단지와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이어지며 전체 평균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 배경으로 △장기적 공급 부족 △규제 반복이 만든 학습효과 △상급지 중심 집중 매수 심리를 꼽는다.
문재인 정부 시절 28차례의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집값이 25% 급등한 경험이 있는 만큼, 시장에서는 “버티면 오른다”는 심리가 여전히 강하게 작동하고 있다. 공급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심리가 더욱 강화되며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권대중 한성대 교수는 “수급 불균형이 고착화되면서 서울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가 9·7대책으로 공급 확대 의지를 밝혔지만, 실제 공급까지 시간이 걸려 단기적 안정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 공급 부족 우려가 상급지를 중심으로 가격을 밀어 올리는 구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