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지역 20일 동시 파업…12월까지 ‘릴레이 총파업’ 예고
기본급·방학 중 무임금·근속·복지 △4대 요구…7차 교섭도 결렬
급식·돌봄 대책 마련…식단 간소화·대체식·늘봄학교 대안 운영

서울·인천·강원·충북·세종 지역 학교급식·돌봄 노동자들이 20일 파업에 돌입하면서 각 시·도교육청이 급식 식단 간소화, 대체식 제공, 돌봄 운영 대책 마련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초등학교 급식_2025.04.23) / 사진 = aT 제공
서울·인천·강원·충북·세종 지역 학교급식·돌봄 노동자들이 20일 파업에 돌입하면서 각 시·도교육청이 급식 식단 간소화, 대체식 제공, 돌봄 운영 대책 마련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초등학교 급식_2025.04.23) / 사진 = aT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서울·인천·강원·충북·세종 지역 학교급식·돌봄 노동자들이 20일 파업에 돌입하면서 각 시·도교육청이 급식 식단 간소화, 대체식 제공, 돌봄 운영 대책 마련 등 긴급 대응에 나섰다.

이번 파업은 21일 호남권, 12월 4일 경기·대전·충남, 12월 5일 영남권으로 이어지는 릴레이 총파업의 첫날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기본급 인상 △방학 중 무임금 해소 △근속임금 차별 완화 △복리후생 제도 개선을 요구하며 공통 임금교섭을 이어왔지만 교육부·시·도교육청과 총 7차례(본교섭 3차·실무교섭 4차) 교섭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특히 방학 중 업무가 없는 급식조리종사자의 무임금 문제를 두고 양측의 이견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지난 14일 ‘2025년 교육공무직 집단임금교섭 총파업 대응 대책’ 공문을 17개 시·도교육청에 전달해 파업 대비를 지시했다. 파업 참여율을 고려해 급식 식단을 간소화하고, 필요 시 빵·과일 등 대체식을 제공하며, 대체식 제공 시 소비기한과 위생 관리 등을 철저히 점검하도록 했다. 급식 또는 대체식 제공이 어려운 경우에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별도 급식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연대회의 파업으로 학교 현장의 급식 제공 차질이 예상되자, 시·도교육청은 각 학교별 대응 체계를 정비했다. 일부 학교는 식단을 간소화한 급식을 제공하고, 대체가 어려운 경우 도시락 지참을 허용한다. 빵·주스 등 간편 대체식도 학교 여건에 따라 운영된다.

늘봄학교의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련 정보를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하도록 했다. (늘봄학교 맞춤형 농촌체험 프로그램) / 사진 = 춘천시 제공
늘봄학교의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련 정보를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하도록 했다. (늘봄학교 맞춤형 농촌체험 프로그램) / 사진 = 춘천시 제공

늘봄학교 역시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련 정보를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하도록 했다. 교육부는 돌봄 교실 운영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직원 투입도 검토 중이다.

서울시교육청은 파업에 대비해 본청·교육지원청·학교에 비상 상황실을 운영하고, 각 직종별 단계 대응 방안을 포함한 ‘종합 파업 대응 계획’을 마련했다. 급식은 △식단 간소화 △급식대용품 제공 △도시락 지참 허용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특수교육·유치원·초등 돌봄 분야는 교직원 활용으로 최소 운영 기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학부모에게는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파업 일정과 급식·돌봄 운영 대책을 사전 공유하며 혼란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노사 간 의견 차이가 있으나 집단 임금교섭 타결을 위해 교육부·시·도교육청과 함께 최선을 다해 협의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 역시 “파업이 이어지더라도 학생들의 급식·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청과 학교가 책임 있게 대응할 것”이라며 추가 협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번 릴레이 총파업은 최소 12월 5일까지 이어질 예정이어서 교육현장의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