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폐기물 현황 공유…저장·처리 계획 집중 점검
고리 1호기 해체 대비 “규제 체계 강화 필요성” 강조
“후대까지 영향 미치는 과제…신뢰 기반 관리 구축” 주문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2025.11.13) / 사진 =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2025.11.13) / 사진 =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방사성폐기물의 신속하고 안전한 처분을 위해 관련 기관들과 함께 현황을 점검하고 규제 체계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논의는 고리 1호기 해체가 본격화되는 시점과 맞물려 방폐물 관리 체계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원안위는 21일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서 올해 여섯 번째 원자력안전라운드테이블을 열어 방사성폐기물 발생 기관의 애로사항과 현장의 요청을 청취했다.

회의에는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참여해 기관별 방폐물 저장·처리 노력과 현재 보관 중인 폐기물의 체계적·신속한 처분 계획을 공유했다.
기관들은 “고리 1호기 해체로 다양한 유형의 폐기물이 대량 발생할 것이 예상된다”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규제 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원안위의 지원과 역할 강화도 요청했다.

최원호 원안위원장은 “고리 1호기 해체는 국내 방폐물 관리 체계가 새 단계로 진입하는 분기점”이라며 “방사성폐기물 처분은 원자력 이용의 마지막 과정이자 후대까지 영향이 이어지는 중대한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방폐물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모두가 지속적으로 힘을 모아달라”고 주문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방폐물 처분과 관련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책의 투명성과 현장의 실행력을 함께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