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해명자료 통해 이같이 밝혀
세운4구역 민간 개발업자에게 1000억원대 이익 돌아간다는 의혹 반박
기반 시설 부담률 기존 3%서 16.5%로 대폭 확대
공공임대·박물관·기부채납 등 공공기여 확대해 환수 규모 12배↑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서울시가 23일 세운지구 재개발로 발생하는 이익 2164억원을 환수한다고 밝혔다. 세운4구역 민간 개발업자에게 1000억원대 이익이 돌아간다는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시는 23일 해명 자료를 통해 이같이 언급하며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특정 사업을 위한 전략이 아닌 서울 도심부 전역을 대상으로 시민 중심의 도시 공간으로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종전의 낮고 뚱뚱한 빌딩으로 가득 채우는 계획을 탈피해 건폐율을 낮추고 지상부에 열린 공간을 확대하도록 함으로써 시민들을 위한 녹지와 어우러진 휴게·보행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도심부 전역의 36개소(세운지구 9개소 포함)에서 해당 정책을 반영해 활발히 추진 중"이라며 "개방형 녹지(민간 대지 내 녹지 공간) 10만9000㎡ 규모 계획이 수립돼 있으며 세운4구역은 그중 일부일 뿐"이라고 말했다.

시는 그러면서 "서울시는 세운4구역의 기반 시설 부담률을 기존 3%에서 16.5%로 대폭 확대해 종전 대비 약 12배의 개발 이익을 환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또한 "기존 계획은 공공 임대 상가(연면적 4190㎡) 공공 기여를 통해 약 184억원 개발 이익을 환수하는 것으로 계획했으나 변경 계획은 공공 임대 상가(연면적 1만8539㎡), 종묘 역사박물관(연면적 8646㎡), 세운상가군 매입 기부 채납(968억원) 공공 기여를 통해 약 2164억원 개발 이익을 환수토록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민간 토지주들에게 돌아갈 순이익은 3900억원이 아닌 112억원"이라며 "현 토지 등 소유자 토지 면적의 30%를 소유한 한호건설그룹에 배분되는 이익은 순이익 112억원의 30%인 약 34억원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아울러 "2025년 10월 세운4구역 관련 고시에 따르면 총수입은 약 3조3465억원, 총지출은 약 2조9803억원으로 손익은 약 3662억이며 토지 등 소유자의 종전 자산 가액 합계 약 3550억원을 제외하면 순이익은 약 112억원"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