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기반시설 전반 평가…AI·데이터 기반 혁신도시 부각
대도시·중소도시 고르게 포함…시민 참여·안전·교통 분야 높은 점수
정부 “우수사례 국내외 확산…지역 기술격차 완화 지원 강화”

국토교통부가 24일 대구시, 경기 안양시, 서울 성동구 등 9개 지자체를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국토교통부)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국토교통부가 24일 대구시, 경기 안양시, 서울 성동구 등 9개 지자체를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국토교통부)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국토교통부가 24일 대구시, 경기 안양시, 서울 성동구 등 9개 지자체를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정부가 2021년부터 도입한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도시의 서비스·기반시설 수준과 혁신 역량을 종합 평가해 우수 도시를 선정하는 제도다.

이번 인증은 △대구시 △안양시 △부천시 △수원시(이상 대도시) △성동구 △구로구 △강남구 △여수시 △은평구(이상 중소도시)가 받았다. 국토부는 총 2000점 만점 중 70% 이상을 충족한 도시를 인증 대상으로 삼는다.

대구시는 AI 기반 스마트교통 플랫폼과 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 데이터 생태계 조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안양시는 인공지능 동선추적 시스템과 자율주행 버스 운영 등 혁신 서비스가 좋은 평가를 얻었다.

부천시는 모바일 통합 플랫폼, AI 복지콜 등 시민 편의·복지 서비스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고, 수원시는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과 스마트폰 사용 제한 스쿨존 도입 등 교통안전 서비스가 돋보였다는 평가다.

중소도시 부문에서는 성동구가 주민 참여 정책 플랫폼과 민관 협력 도시운영 체계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구로구는 보행보조 재활로봇과 다중인파 안전관리 시스템 등 복지·안전 분야에서 주목받았다. 강남구는 로봇 테스트필드 조성, 미래교육센터 운영 등 기술 실증 기반을 구축해 우수 도시에 선정됐다.

전남 여수시는 글로벌 스마트관광 서비스와 스마트 원격검침 시스템 성과로, 서울 은평구는 교통약자 이동 지원 플랫폼 등이 높은 평가를 받으며 올해 처음으로 인증을 받았다.

인증 지자체에는 국토부 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동판이 수여되며, 국내외 우수 스마트도시로 홍보되는 기회도 제공된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국내 스마트도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며 “우수사례 확산과 지역 기술 격차 완화를 위해 정책적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