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행정망에서도 안전하게 민간 AI 적용…보안 문제 해결
정부24+ 지능 검색·업무관리 플랫폼 등 기관별 AI 서비스 확대
이달 말부터 내년 2월까지 시범 운영…행정 효율성 개선 기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9월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시대 정부혁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9.24) / 사진 = 행정안전부 제공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9월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시대 정부혁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9.24) / 사진 = 행정안전부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정부가 내부 행정망에서도 민간 인공지능(AI)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면서 행정 전반의 업무 방식에 변화가 시작된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중앙·지방정부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AI 공통 기반’ 서비스를 본격 개시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민간 AI를 행정망에서 직접 활용하기 어려웠다. 내부 행정데이터 유출 우려가 크고 보안 요건이 까다로워, 인터넷망에서만 제한적으로 A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민간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을 공공 업무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제기돼왔다.

새롭게 마련된 범정부 AI 공통 기반은 민간이 보유한 AI 모델과 학습데이터, GPU 인프라 등을 정부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체계다. 중복 투자 없이 문서 처리, 검색, 상담 등 다양한 행정 업무에 바로 AI 기술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이 기반을 활용해 기관 맞춤형 서비스 개발도 지원한다. 우선 복잡한 행정 용어나 절차를 몰라도 필요한 서비스를 찾아주는 ‘정부24+ 지능 검색’을 다음 달 도입한다. 또한 문서 초안 작성, 자동 편집 등 단순 반복 업무를 AI가 대신 수행하는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시범 서비스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공무원이 창의적 판단과 정책 기획 등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서비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이달 말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두고 기능 검증과 품질 개선을 진행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범정부 AI 공통 기반이 공공 부문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