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타민 등 ‘바이오제닉아민’…붉은살 생선 부패 시 급격히 증가
구역질·두드러기·가려움 등 발생…알레르기와 유사 증세
고등어·꽁치·가다랑어 등 관리 강화…치즈·젓갈류도 주의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신선도가 낮아진 고등어·꽁치 등의 등푸른생선을 먹은 뒤 구역질, 두드러기, 가려움 등 증상이 나타난다면 일반적인 식중독이 아니라 ‘히스타민 중독’일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4일 발간한 유해물질 간편정보지 ‘바이오제닉아민’ 편에 따르면, 히스타민을 포함한 여러 아민류가 부패한 수산물과 발효식품에서 생성되며 급성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바이오제닉아민에는 △히스타민 △티라민 △푸트레신 △스퍼미딘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나 치즈·젓갈·장류 등 발효식품에서 주로 검출되며, 수산물·축산물의 부패 과정에서 농도가 크게 올라간다. 대부분 인체 내에서 대사돼 배출되지만, 과다 섭취하거나 항우울제 등 특정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분해 능력이 떨어져 체내 축적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특히 히스타민은 신선도가 떨어진 고등어, 꽁치, 가다랑어 등 붉은살 생선을 먹을 때 고등어 중독증(scombrotoxicosis)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저혈압, 두통, 설사,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으로 이어지며 식품 알레르기와 혼동되기 쉽다. 치즈나 포도주 섭취 후 입 안이 타는 듯한 느낌, 피부 반점, 가려움 등이 나타날 경우 역시 히스타민 반응일 가능성이 높아 진료가 필요하다.
바이오제닉아민 가운데 티라민은 ‘혈관성 아민’으로 분류되며, 치즈 등 티라민이 많은 식품을 항우울제와 함께 섭취할 경우 분해가 억제돼 고혈압 및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식약처는 “유해물질은 미량이라도 음식물을 통해 지속적으로 섭취될 수 있어 제조·가공·유통 과정 전반의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며 “개인의 민감도가 달라 기준 설정이 쉽지 않아 일부 어류와 수산가공식품에 한해 히스타민 기준을 두고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