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방산 전자체계 생산 거점 구축

한화시스템이 25일 구미1국가산업단지 내(구 한화 구미공장 부지)에 방위산업 핵심 제조시설을 준공하며 총 2,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한화시스템이 25일 구미1국가산업단지 내(구 한화 구미공장 부지)에 방위산업 핵심 제조시설을 준공하며 총 2,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경북 = 서울뉴스통신】 박영기 기자 =한화시스템이 25일 구미1국가산업단지 내(구 한화 구미공장 부지)에 방위산업 핵심 제조시설을 준공하며 총 2,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이번 준공으로 한화시스템은 차세대 K-방산 장비의 대규모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본격적인 양산 체제에 들어섰다.

이날 행사에는 양금희 경제부지사, 김장호 구미시장, 국회의원, 시·도의원,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이사, 국방과학연구소, 육해공군 주요 관계자, 협력업체와 임직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한화시스템은 2022년 투자협약서 체결 이후, 구미 신사업장을 약 8만 9,000㎡(27,000평 정도) 규모로 조성했다. 신공장은 ▲해양 무인체계 ▲함정 전투체계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통합전장시스템 등 차세대 주요 방산장비를 집중적으로 생산하며, 국내 최대 방산전자 체계 생산거점으로 미래 방위산업의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화시스템은 방산전자 분야 국내 1위 기업으로, 차세대 레이더·전자광학추적장비·전투지휘체계 등 핵심 방위시스템을 공급해 왔으며, 이번 신공장 준공으로 기존 구미공장 용지를 확장·이전하며, 국가산단 내 핵심 방산 생산라인을 확충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 방산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이바지할 전망이다.

경북도는 2023년 5월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 이후, 기업·연구기관 협력 생태계를 확장하며 K-방산 전진기지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한화시스템의 구미 투자 확정은 클러스터 유치의 결정적 동력이 되었고, 구미는 LIG넥스원과 함께 K-방산 핵심 기업 집적지이자 글로벌 방산 허브로 자리매김했다.

한화시스템은 최근 글로벌 방산 및 ICT 시장에서의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적이 가파르게 개선되고 있으며, 이번 구미 제조시설 준공은 이러한 성장세를 더욱 가속하는 전략적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미 신공장 준공을 통해 생산 역량이 강화됨에 따라 수출 물량 확대 및 양산 체제 안정화가 가능해져 고부가 가치 품목인 방산 전자체계 양산이 시작되어 미래 방위산업을 이끌어 가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이번 신공장은 구미가 글로벌 방위산업을 선도하는 혁신도시로 도약하는 데 결정적 계기”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