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원팀·포용 강조…네거티브는 자제”
한동훈 “정책은 정면 질의…계엄 문제 짚고 간다”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왼쪽)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왼쪽)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국민의힘 대선 경선 마지막 양자 토론회가 30일 열리는 가운데, 최종 후보 자리를 두고 맞붙는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정책과 단일화를 주요 의제로 격돌할 예정이다.

특히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출마 가능성과 이에 따른 후보 단일화 방식,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계엄 논란 및 탄핵 입장 차이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김문수 캠프는 본선 경쟁력을 강조하며 포용과 단결을 주된 기조로 삼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 측은 “이재명 후보에 맞서기 위한 보수 원팀 구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불필요한 정치 공방보다 정책 중심의 건전한 토론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이어 “한 후보의 언변은 좋지만, 정공법으로 국민이 궁금해하는 정책 본질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동훈 후보 측은 네거티브 대신 ‘팩트에 기반한 정책 질의’를 강조하면서도, 계엄 관련 질문은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한 캠프 관계자는 “예의를 지키되 핵심 정책과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 당시 김 후보의 입장을 반드시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후보는 과거 계엄을 위법이라 규정하고 해제를 요구한 바 있으며, 윤 전 대통령 탄핵에도 찬성한 인물이다.

두 후보는 탄핵 문제를 두고도 상반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김문수 후보는 탄핵에 반대한 이른바 ‘반탄파’로, 계엄은 잘못이라 하면서도 윤 전 대통령 탄핵에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 반면 한 후보는 계엄 해제 및 탄핵 찬성 입장을 고수하며, “민주당의 계엄 공세에서 자유로운 후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출마를 앞둔 한덕수 대행과의 단일화 방식에 대해서도 후보 간 시각차가 뚜렷하다. 김문수 후보는 한덕수와의 단일화를 가장 먼저 공론화하며 당심을 흡수하려 했고, 노무현-정몽준식 모델, 혹은 콘클라베식 방식 등 다양한 단일화 전략을 제시해왔다. 반면 한동훈 후보는 경선 완주 의지를 보이며 “단일화론은 패배주의”라고 비판했다.

이날 토론 이후 국민의힘은 5월 1~2일 동안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와 당원 투표 50%를 합산해 최종 대선 후보를 확정한다. 대망의 결과는 5월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전당대회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