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부동산·특검까지…속도감 있게 핵심 과제 처리
내각·대통령실 인선 대부분 마무리…국정 공백 최소화
전통시장 방문부터 여야 회동까지…‘소통 정치’ 실천 행보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6.24)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6.24)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한 달 동안 빠른 속도의 정책 집행과 인사 단행, 그리고 정치권과의 소통으로 국정 운영의 첫 발을 내디뎠다. 민생 회복을 위한 추경 편성과 부동산 대책 발표, 3대 특검 임명 등 굵직한 현안들을 잇따라 처리했고, 여야 지도부를 초청해 소통을 강조하는 모습도 이어졌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고, 나흘 만에 두 차례 회의를 열며 물가 안정과 민생 지원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지시했다. 그 결과 지난달 19일, 총 30조5천억 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이 발표됐다. 특히 13조2천억 원이 배정된 소비쿠폰 예산은 보편 지급과 선별 지급을 혼합해 재정형평성과 민심을 함께 고려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추경안은 현재 국회에서 심사 중이다.

부동산 정책도 속도감 있게 추진됐다. 취임 한 달이 채 되기 전인 6월 27일, 금융위원회는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을 내놨고, 해당 정책은 발표 다음 날부터 즉각 시행됐다. 대통령실은 이에 더해 주택 공급 확대 가능성도 시사해 후속 정책이 추가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06.24)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06.24)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있는 3대 특검법도 취임 엿새 만에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 대통령은 국회 추천을 거쳐 내란특검, 김건희특검, 채해병특검에 각각 조은석 전 감사위원,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법원장, 이명현 고등검찰부장을 신속하게 임명하며 특검 구성을 마무리했다.

인사 역시 속도를 냈다. 이 대통령은 취임 당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내정했으며, 이후 17개 부처 장관을 임명해 내각 구성을 대부분 마무리했다. 총리 후보자의 인준이 지연되는 상황에서도 이주호 총리대행의 제청권을 활용해 국정 공백 최소화에 힘썼다. 구윤철 기재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해 정은경(복지부), 정동영(통일부), 김성환(환경부) 등 주요 부처 장관 후보자들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대통령실 역시 ‘3실장 7수석 1보좌관 체제’가 자리잡았다. 강훈식 비서실장,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안보실장이 각각 임명됐고, 우상호 정무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등 수석진과 보좌관 인선도 마무리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다. (2025.06.23).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다. (2025.06.23).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한편 이 대통령은 ‘소통의 정치’를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행보로 보여줬다. 취임 이틀째에는 국립서울현충원 인근 전통시장을 찾아 민생 현장을 둘러봤고, 이후 울산 AI데이터센터 방문, 광주 군공항 이전 관련 간담회 등을 통해 지역 현안을 청취했다.

정치권과의 접촉도 활발히 이어갔다. 지난달 22일에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도부를 대통령 관저에 초청해 제한 없는 대화를 나눴고, 오는 3일에는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 등 비교섭단체 지도부와도 오찬을 예정하고 있다. 당시 이 대통령은 국민의힘을 상징하는 붉은색이 들어간 넥타이를 착용해 정치적 상징성까지 고려한 행보로 주목받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3일,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주제로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는 통상 전임 대통령들이 취임 100일 전후에 기자회견을 열었던 관례에 비해 이례적으로 빠른 일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언론과 국민 사이의 가교 역할을 중시하고 있어 조기 회견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