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에도 강남권 집값 상승세 지속
대출규제, 실수요자보다 ‘현금 부자’에 유리하게 작용
서울 고가·저가 아파트 가격 격차 통계 이래 최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고가주택 대출 규제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에 나섰지만, 강남권 아파트 시장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출 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현금 부자들이 재건축 기대감과 자산가치 상승에 베팅하면서 신고가 거래가 잇따르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114㎡가 63억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같은 달 30일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는 36억9000만 원, 이달 4일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 59㎡는 31억 원에 손바뀜됐다.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는 오히려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상대적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축 공급이 줄어든 상황에서 희소성이 부각되고, 유동성이 풍부한 자산가들이 대출 규제와 상관없이 매수에 나서면서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KB부동산의 10월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상위 20%(5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33억4409만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 30억 원을 돌파한 뒤 5개월 만에 3억 원 이상 상승했다. 반면 하위 20%(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4억9536만 원으로, 22개월째 4억 원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따라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상위 20% 대비 하위 20%)은 6.8배로,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저가 아파트 7채를 팔아야 강남의 고가 아파트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가 최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15억 원 이하 주택 6억 원 △15억~25억 원 이하 4억 원 △25억 원 초과 2억 원으로 제한하면서, 실수요자보다 대출 규제와 무관한 ‘현금 자산가’에게 유리한 시장 구조가 형성됐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권대중 한성대 경제·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초강력 규제에도 강남 등 일부 지역에서 신고가가 잇따르는 것은 현금 자산가들의 대기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의미”라며 “신규 주택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더 강화되고, 서울 부동산의 양극화는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