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 74% 급감…11월 평균 거래액은 15억5900만원대로 급등
강남3구·용산 고가 단지 중심 신고가 행진…서울 상승분의 87% 차지
정부 규제에도 ‘똘똘한 한 채’ 현상 강화…가격 안정 효과 논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서울 아파트 시장이 초강력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평균 거래금액은 오히려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대출 규제 영향이 적은 강남·서초·송파 등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신고가가 잇따르면서 평균 금액을 끌어올린 것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평균 거래금액은 9월 12억1087만원에서 10월 12억2625만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11월(17일 기준)에는 평균 15억5968만원을 기록하며 올해 들어 월별 최고치를 찍었다. 아직 신고가 마감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반면 거래량은 극적으로 줄었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한 달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955건으로, 발표 직전 한 달간 거래량(1만1496건)보다 74.3%나 감소했다. 그러나 거래가 줄더라도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비탄력 시장’의 특성이 강남권을 중심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집토스 분석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전후로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격이 1.2% 오르는 데 그친 반면, 강남3구와 용산구는 같은 기간 2.5% 상승했다. 서울 전체 신고가 거래 중 87%인 309건도 이들 지역에서 나왔다.
한국부동산원 기준 11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7%로 3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서초(0.20%), 송파(0.47%), 용산(0.31%), 성동(0.37%) 등 핵심 지역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졌다.
실제 신고가 사례도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 전용 84.59㎡는 이달 7일 기존 최고가보다 1억9000만원 높은 41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서초구 반포동 ‘디에이치반포라클라스’ 전용 59.98㎡ 역시 이달 5일 37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지난 6월 대비 2억5000만원 상승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강력한 규제지역 지정으로 거래량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건 확실하지만, 정작 규제가 가장 강한 강남권의 신고가 기록이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 대책이 실제 가격 안정으로 이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