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이후 상승폭 둔화됐지만 강남권은 오히려 상승 전환
신고가 거래 61%↑…대치·잠실 등 고가 단지 중심으로 확산
“세금 부담 커지기 전에 증여” 강남3구 증여 비중 21.6%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의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매수심리가 위축되며 거래는 급감했지만, 서울 집값의 ‘심장부’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서는 집주인들이 매도 대신 ‘버티기’에 들어가면서 가격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특히 세제 개편 예고가 겹치면서 매매보다 ‘증여 카드’를 선택하는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7% 상승했다. 10·15 대책 발표 직전 0.54%에서 △0.50% △0.23% △0.19%로 상승폭은 크게 줄었지만, 상승 흐름 자체는 이어지고 있다. 흥미롭게도 서초·송파·용산·성동 등 주요 선호 지역은 오히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성동구는 0.29%에서 0.37%로, 용산구는 0.23%에서 0.31%로 상승폭이 커졌고 송파·서초 역시 같은 흐름을 보였다.
부동산원은 “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짙어졌지만, 선호도 높은 단지와 재건축 기대 단지에서 상승 거래가 성사되며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흐름은 신고가 거래에서도 확인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강남3구의 신고가 매매는 대책 발표 전(10월 1~14일) 67건에서 발표 후(15~28일) 108건으로 61.2% 증가했다. 용산구 역시 같은 기간 신고가 거래가 증가했다.

실제 고가 단지들의 신고가 행진도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114㎡는 지난달 27일 63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고,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36억9000만원), 송파구 잠실엘스 전용 59㎡(31억원)도 나란히 신고가를 새로 썼다.
여기에 최근 집주인들의 시선이 ‘증여’에 쏠리면서 강남권 증여 증가세도 뚜렷하다. 내년 5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종료가 예상되면서, “양도세 내느니 차라리 지금 증여세 내고 자녀에게 넘기겠다”는 판단이 늘어난 것이다.
올해 1~10월 서울 집합건물 증여 건수는 6718건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21.6%인 1452건이 강남3구에서 나왔다. 강남구가 572건으로 가장 많았고, 송파구(450건), 서초구(430건)가 뒤를 이었다.
권대중 한성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급 부족과 규제 강화 속에 ‘똘똘한 한 채’ 선호가 더 강해졌고,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까지 겹쳐 매도자가 나오지 않는 구조”라며 “세제 개편을 앞두고 증여가 더 유리하다는 판단이 확산된 점도 강남권 증여 증가의 핵심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